본문 바로가기
법과 절차

연금저축의 모든 것(2) : 연금저축의 효과

by 헤겔몽 2023. 3. 11.
반응형

이전 포스팅에서 열거한 이 연금상품을 가입하면 얻는 이득은 무엇일까요?

 

제일 먼저, 세액공제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라고 하는 것은 1년 동안에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 직장인이라면 연말정산, 기타 소득이 있는 분들은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세금을 내게 되는데 연금으로 저축한 금액의 일정 비율만큼 세금을 빼주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세금을 원래 300만 원을 냈어야 했는데 한 60만 원을 깎아주는 식이죠. 세금을 먼저 냈다면 환급을 받는거죠.

 

그렇다면 얼마를 돌려받을까요?
내가 1년 동안 연금 저축 상품에 납입한 금액의 13.2% 또는 16.5%의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매년 100만 원을 납입을 했잖아요. 그러면 165천 원을 환급을 해줍니다. 400만 원을 넣으면 66만 원을 환급을 해주는 식이죠. 이게 엄청난 게 매년 13.2% 또는 16.5%의 수익을 거두는 효과와 동일한다는 거죠. 이때 환급받은 돈만큼 다시 저축연금에 넣어주면 수익률을 체감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세상의 어떤 금융상품도 이런 수익을 보장해주는 상품이 없을거에요.

그런데, 한도가 정해져 있어요. 연금 저축은 600만 원까지 IRP 합쳐서는 900만 원까지이죠ㅣ

 

두 번째 장점인 과세 이연 효과가 있습니다.

 

연금저축은 연금수령이나 중도인출 하지 않는다면 투자수익에 대해서 과세를 하지 않습니다. 이를 과세 이연이라고 하죠.
만약에 예금을 가입을 하면 거기에 이제 이자가 발생할 것이고, 그 이자의 소득세 15.4%를 떼게 되는데 펀드도 마찬가지로 배당 소득세를 뗍니다. 다만, 예금의 이자소득세 보다 낮은 3.3%에서 5.5%만 세금을 뗄 뿐이죠. 과세이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가입기간동안, 16.5%의 세액공제를 받고, 연금으로 수령할 때는 3.3%에서 5.5%만 내면 되니 엄청난 수익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거기다가 이 상품들은 장기 상품이니까 수익이 또 많이 생길 수도 있죠.

 

지금까지 연금저축 상품의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좋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금저축이 사람들에게 욕을 먹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