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엠폭스, 원숭이두창 증상, 감염경로, 예방법

by 헤겔몽 2023. 4. 15.
반응형

엠폭스, 원숭이두창(Monkeypox virus)은 사람에게 전염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입니다.

1950년대 후반부터 서브사하라 아프리카 지역에서 바이러스와 질병을 연구(SVR)하던 중 1958년에 원숭이 질환에서 발견된 바이러스입니다. 이 바이러스의 발견과 분리는 SVR의 주요한 연구 성과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엠폭스의 증상 및 감염경로, 예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엠폭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으로 증상은 두창과 유사하나 더 경미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엠폭스 증상

 

엠폭스에 감염된 사람들은 감기와 비슷한  발열, 피로,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과 함께 임파선 부종, 발진 등이 나타납니다.

감염이 악화되는 경우, 중증 피부감염 및 내장 기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발열 : 발열은 감염 초기에 나타나며, 체온이 상승하고 기침, 가래, 몸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발진 : 발열 후에는 대개 1~3일 이내에 발진이 시작됩니다. 발진은 대개 얼굴, 손목, 손가락, 발, 발목 등에 나타나며, 처음에는 작은 홍색 또는 갈색으로 나타나고 이후에는 수채화와 같은 큰 발진으로 진행됩니다. 발진이 괴사 하거나 상처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두통, 근육통 및 피로 :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 림프절 부종 : 감염된 사람은 림프절 부종이 나타날 수 있으며, 림프절은 대개 발진이 생기는 부위에서 팽창됩니다.

 

 

엠폭스 감염 경로

 

엠폭스 바이러스는  감염된 원숭이로부터 인간에게 전파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직접적인 접촉 즉, 감염된 동물을 직접 만지거나 감염된 동물의 분비물에 노출되어 감염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바이러스의 전파 경로입니다.

 

■ 감염된 동물 : 엠폭스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감염된 원숭이로부터 인간으로 전파됩니다. 동물을 먹이거나 다룰 때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 감염된 동물의 분비물 : 감염된 동물의 분비물(침, 소변, 대변, 혈액 등)에 노출되면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 : 감염자와 직접적인 접촉, 즉, 감염자의 발진 부위와의 접촉 또는 감염자와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경우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의류와 침구류 등을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 :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 침, 소변, 대변, 혈액에 노출되면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엠폭스 치사율

 

천연두의 치사율이 통상 30%인 반면에 엠폭스의 감염으로 인한 치사율은 일반적으로 1%에서 10% 내로 보고되며, 경미한 증상으로 진행되어 치료 없이도 회복되는 사례도 있습니다. 그러나 자연적으로 치유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므로, 감염 의심이 있을 때는 즉시 의사의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치료약이나 백신이 나와 있기 때문에 초기 진단이 원활하게 잘 이루어진다면 크게 걱정을 안 해도 됩니다.

 

엠폭스 감염 예방법

 

■ 개인위생 : 개인위생은 감염 예방의 핵심입니다. 손을 자주 씻고 위생적인 식습관을 유지해야 합니다. 동물과 접촉 후에는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또한 감염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고, 감염된 분비물이 있는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백신 : 바이러스에 대한 3세대 백신까지 이미 개발이 되었으며 일부 국가에서 접종이 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2022년에 일부 의료진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하였습니다. 현재 일반 국민에게는 접종을 권유하지 않고 있으며 고위험군 위주로 백신을 접종하고 있습니다.

 

■ 감염자와 접촉 차단 : 감염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 여행 전 의료기관과의 상담 : 엠폭스 바이러스는 특정 지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행 계획을 세우기 전, 방문하려는 지역에서 발생 가능성이 있는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의료기관에서 상담을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래 질병관리청 '질문과 답변'을 누르시면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청 '질문과 답변'

 

 

반응형

댓글